1964년 첫학교서 만난 이윤영님, 선친이 평생 모은 수석 수백점을 농원에 기증하고 해마다 와서 추억, 공부 잘한 공학도가 회사 경영 전문가 되어 7개 회사 대표 하면서도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지향하는 블로그 글 꾸준히 쓰고 독서 모임 이끄는 그대 의지에 박수! 어제는 열성 팬들 모여서, 나를 움지이는 큰 힘 시간, 공간, 인간, 내 양심과 욕심에 대한 얘기
요즘 워낙 큰 뉴스들에 가려서 대수롭지 않게 지나간 것 같은데 엊그제 65세 이상 인구가 전 국민의 20%를 넘어섰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UN(국제연합)은 65세 이상 인구가 7%면 고령화사회, 14%는 고령사회 그리고 20%가 되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합니다. 우리 국민 다섯 명 중 한 명은 노인인 말 그대로 초고령사회가 된 것입니다. 고령사회에 진입한 지 불과 7년 만입니다.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속도입니다.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기간을 보면 이탈리아가 20년, 독일 36년, 프랑스 39년, 대표적인 초고령국가인 일본도 10년이 걸린 걸 보면 우리가 얼마나 빠른지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
판검사가 퇴임하면 전관예우 기대하며 변호사 개업, 그래서 판사-검사-변호사가 한통속 의심, 오상현 판사는 퇴임 후 모교대학 교수로 후진 양성, 고향에서 법률 봉사, 요즘은 부부가 세계 두루 여행하며 페루 잉카문명의 고대 요새 도시 마추픽추 전경, 신전, 찻길, 표지판 사진 보내 감사! 그대의 모범 행동이 법조계에 새바람 일으키길 기대하며 박수!
크리스마스 시즌이면 반복해서 재생산되는 영화나 소설, 음악들이 있습니다. 클리셰처럼 고리타분할 것 같은데도 여전히 소비된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오 헨리의 단편 《크리스마스 선물》이나 ‘구두쇠 스크루지’로 알려진 찰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럴》 영화 《러브 액추얼리》 같은 게 대표적입니다. 심지어 서른이 다 된 아들은 어릴 때 봤던 영화 《나 홀로 집에》 시리즈를 지금도 크리스마스 시즌이면 몰아서 다시 보곤 합니다. 얼마 전 크리스마스 시즌에 기억될 만한 새로운 책을 한 권 찾았습니다. 아일랜드 출신 작가 클레어 키건이 쓴 길지 않은 소설인데 지난 해 번역돼 조용히 입소문을 타다가 최근에는 영화로도 만들어져
근대 조각의 아버지 로댕이 상품 조각에 열중하던 어느날 재능을 알아본 동료에게 들은 뜻밖의 조언, "눈에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내면세계를 표현해 보라" 충격 받은 로댕은 새로운 작품 세계 터득 드디어 세계적 작가로 우뚝, 이렇게 좋은 생각 받아들일 빈자리와 자세가 얼마나 소중? 열린 마음 트인 생각은 교양인의 필수 자세, 나는 갖추고 있나?
예수는, 나를 따라서 구원 받고 하나님 은혜 입어 사랑 실천하라, 부처는, 너 자신 속에 있는 참나를 실현해 스스로 부처가 되라, 공자는, 타고난 양심 인의예지 실천해 믿을 수 있게 수양하라, 이렇게 모두 사랑을 가르쳤는데, 세상은 왜 이렇게 사납고 거칠게 돌아가며, 사람 죽이는 전쟁을 끝없이 하나? 조물주의 한탄을 다시 읽어보니, 나도 한탄 대상?
▲ 정도영 씨 별세, 정승일(대원제약 경영지원부 이사) 씨 부친상 = 23일, 목포 삼목장례식장 203호 (전남 목포시 청호로220번길 21-11), 발인 : 25일(수) 13시, 장지 : 전남 진도군 산림조합수목원
대학원 마지막 학기여서 졸업시험 보고 과제 제출하느라 요즘 정신 없이 바쁜 딸아이는 논문 쓰는 데 도움이 된다며 얼마 전부터 Chat GPT 유료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AI가 그럴듯한 보고서는 물론 그림을 그려주고 동영상에 작곡까지 하는 마당에 논문 작성쯤이야 차라리 쉬운 일일 것입니다. 얼마 전 미국 피츠버그 대학교 연구팀은 월트 휘트먼, 제프리 초서, T.S 엘리엇, 윌리엄 셰익스피어 같은 유명 시인 10명의 시와 이들의 문체를 AI에게 학습시켰습니다. 그리고 나서 AI가 쓴 시를 일반인에게 보여주고 작가가 사람인지 AI인지 구분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실험 참가자들은 AI가 쓴 시를 인간이 썼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더 많았고 심
△ 박종민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광고심의분과위원장(경희대 미디어학과 교수) 부친상, 한규정씨 남편상 - 고인 : 故 박상배 님(향년 92세) - 일시 : 12월 23일 오후 5시 20분 - 빈소 : 건양대병원 장례식장 지하 1호실 - 발인 : 12월 25일 (수) 오전 6시 - 장지 : 당진시 선영 - 연락처 : 042) 600-6660
젊을 때 성탄 분위기에 괜히 마음 들떠 유치한 짓? 학교경영 핵심은 교육과정과 학사일정 잘 짜고 교사는 열심히 가르치고 학생은 열심히 배우는 분위기 조성하는 것, 정치 지도자도 민심 분위기 정확히 읽지 못하고 엉뚱한 쪽 가면 파국, 생각을 지배하는 분위기를 잘 파악해서 구성원을 바람직한 쪽으로 잘 이끌어야 훌륭한 지도자?
오리온그룹이 2025년 정기 임원인사를 발표했다.다음은 인사 명단. • 승진<부사장(급)>◇중국 법인 ▲대표이사 이성수◇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 ▲ACB법인장 채제욱(수석부사장) ▲개발전략센터장 김정애(부사장급 연구위원)<전무>◇한국 법인 ▲AGRO팀장 권혁용 ▲ENG팀장 김용태 ▲경영지원팀 담서원<상무>◇중국 법인 ▲R&D본부장 전우영 ▲영업본부장 정동원◇베트남 법인 ▲영업1본부장 박선호 ▲생산본부장 양진한◇러시아 법인 ▲Novo 공장장 김죽식 ▲R&D팀장 유재학◇쇼박스 ▲영화사업본부장 이현정◇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 ▲ACB법인 BD팀장 정미진
가끔 외국을 여행할 때 화장실 때문에 불편을 겪은 경험 한두 번씩은 있을 것입니다. 공중화장실을 찾기도 쉽지 않을 뿐더러 있다 하더라도 유료로 운영하는 곳이 많습니다. 특히 유럽이 그렇습니다. 그 화려하고 웅장한 베르사유 궁전조차 화장실이 없을 정도였으니 일반인들은 오죽했겠습니까. 그런 DNA가 이어져서 그런지 유럽의 많은 나라는 여전히 화장실을 이용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그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화장실 인심이 좋은 편입니다. 어디를 가든 대부분 화장실을 공짜로 쓸 수 있고 공원이든 공공기관이든 어렵지 않게 깨끗한 화장실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화장실에서 그 나라의 문화와 문명의 수준을
충남 보령시 청소면 오서산 자락 깊은 산 골짜기에 세운 미옥서원, 학원으로 성공한 이재중님이 백억 큰 돈과 정성들여 지은 한옥 책방 어머니 임미옥 이름 따 미옥서원, 독서는 충만한 사람을 만들고 토론은 준비된 사람을 만들고 글 쓰기는 정확한 사람을 만든다는 취지로 도서 판매 외 독서 토론, 인문학 캠프, 서당 프로그램, 각종 전시회도 한다는데, 도시에 찌든 현대인에게 신선한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