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애플의 차세대 반도체를 미국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에서 생산한다. 삼성전자는 애플 신제품에 탑재되는 이미지 센서를 미국의 생산 라인을 통해 양산하게 될 것으로 파악된다.6일(현지시간) 야후파이낸스 등에 따르면 애플은 이날 미국에 1000억달러를 추가로 투자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애플은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위치한 삼성의 반도체 공장에서 삼성과 협력해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사용되는 혁신적인 새로운 칩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이어 "이 기술을 미국에 먼저 도입함으로써 이 시설은 전 세계로 출하되는 아이폰을 포함한 애플 제품의 전력 효율성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칩을 공급하게 될 것"이라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약 100%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6일(현지시간) AP통신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애플의 대미 시설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서 "우리는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반도체 관세는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반도체 칩에 적용될 것이리며 하지만 미국에 제조공장을 갖고 있거나 제조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한 반도체 기업들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텍사스에 대규모 공장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와 인디애나주에 AI 메모리 공장을 짓고 있는 SK하이닉스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인 부과
애플이 미국에 1000억달러를 추가로 투자한다는 발표에 기술주 중심으로 뉴욕증시가 반등했다. 애플은 앞서 미국에 4년간 500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힌데 이어 이번에 추가로 대규모 투자계획을 내놨다. 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거래일보다 5.09% 급등했다. 애플발 기술주 훈풍에 빅테크 주가가 대부분 상승했다. 애플이 미국에 투자 규모를 확대키로 한 것은 관세 혜택을 받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번 투자로 관세 혜택을 받으면 경쟁업체에 비해 경쟁우위를 점할 것이라는 게 월가의 분석이다.아마존(4.0%), 테슬라(3.62%)가 3% 넘게 뛰었고 메타(1.12%), 브로드컴(2.98%), 구글 모회사 알파벳(0.73%), 넷플릭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한국 수입차에 대한 관세 15%를 언제 적용할 지가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김 장관이 이날 국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자동차 관세에 대해서는 미국과 더 구체적인 협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주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율을 25%로 15%로 대폭 낮추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국 자동차는 한-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무관세로 수출해 온 반면 일본은 2.5%의 관세를 적용받아 왔다. 하지만 이번에 한국과 일본이 똑같이 15% 관세를 적용받아 수출 경쟁력 면에서 상대적인 우위가 소멸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의 최첨단 공정인 2㎚(나노미터·10억분의 1m) 기술 유출 사건이 발생해 3명이 구속됐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대만 자유시보와 연합보 등 대만언론들의 보도를 인용, 대만 고등검찰서 지적재산권분서는 지난달 TSMC 전현직 직원 9명에 대한 수사에 벌여 이 가운데 3명을 국가안전법 위반 혐의로 구속했다며 이같이 밝혔다.대만 고등검찰서는 전현직 TSMC 엔지니어 거주지와 북부 신주과학단지 내 도쿄일렉트론(TEL)에 대한 압수 수색을 진행했다.이어 소환 조사, 압수 휴대전화 포렌식 분석,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 계좌 추적 등을 통해 천모 씨, 우모 씨,
유럽 최대 자동차 시장인 독일과 영국에서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 중국 BYD가 질주하고 있다. 반면 테슬라의 부진은 지속됐다.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야후파이낸스 등에 따르면 영국자동차공업협회(SMMT)와 독일 연방도로교통청(KBA)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7월 영국에서 BYD 신차 판매는 3184대로 1년 전(768대)보다 무려 314%나 급증했다.이에 따라 올해 1~7월 누적 판매량은 2만2574대로, 작년 동기 대비 514% 급증했다.독일에서도 7월 BYD 신차 판매는 작년 동기 대비 390% 증가하는 호조를 기록했다.반면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부진은 지속됐다.7월 영국에서 테슬라는 1년 전보다 60% 급감한 987대 팔리는 데 그쳤다. 1~7월 누적 판
뉴욕증시가 차익실현 매물이 대량 출회된 영향으로 반도체주들이 소폭 조정을 받았다.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거래일보다 0.97% 하락 마감했다.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도 1.12% 하락한 것을 비롯해 대만 TSMC는 2.73%, AMD는 1.4% 떨어졌다. 마이크론은 1.2% 상승했다.이날 엔비디아의 경쟁업체인 AMD는 2분기 매출이 76억달러, 주당순이익(EPS)은 0.48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월가 예상치인 매출 74억달러, 순이익 0.49달러에 근접한 수치였다.리사 수 CEO는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 콜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AI칩 규제로 인해 8억달러 정도 손실을 봤다"며 "3분기에는 강력한 AI수요에 힘입어 매출이 84억~90달러에
쿠팡이 올해 2분기 분기 기준 역대 최대인 11조9000억원대의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은 2093억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 전환했다.쿠팡 주가는 이날 0.9% 상승 마감했지만 실적 발표 후 시간외 거래에서 이같은 호실적 영향으로 2.5% 가량 추가 상승중이다.5일(현지시간) 쿠팡은 장 마감 후 실적 발표에서 2분기 매출은 11조9763억원(85억2400만달러)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19% 늘어난 규모다. 분기 기준 역대 최대다.2분기 영업이익은 2093억원(1억4900만달러)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영업손실 342억원에서 흑자 전환했다. 지난해 2분기에는 파페치 영업손실과 한국 공정거래위원회의 과징금 추정치를 판매관리비에 반영하면서 적자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예고해온 대로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내주 정도"(next week or so)에 품목별 관세를 더 발표할 예정이라면서 대상 품목으로 반도체와 의약품을 언급했다그는 특히 의약품에 대해 "처음에는 의약품에 약간의 관세(small tariff)를 부과하지만, 1년이나 최대 1년반 뒤에는 150%로 올리고, 이후에는 250%로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이는 제약사들이 미국 밖에 있는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옮기는 데 필요한 시간을 1년에서 1년 반 정도를 주고 그 이후에 관세를 대폭 올리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이날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삼성전자와 맺은 23조원 파운드리 공급 프로젝트를 놓고, 빠른 진행을 위해 본인이 직접 사업을 챙기겠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했다.5일 업계와 뉴시스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X(옛 트위터)에 "나는 (칩 개발의) 진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직접 현장을 찾을 것이며, (삼성 테일러) 공장은 내 집에서 멀지 않다"고 말했다.앞서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테슬라와 22조7648억원(165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따내며 주목 받았다. 삼성전자의 미국 테일러 공장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AI6 칩을 생산할 전망이다.파운드리 사업부는 삼성 반도체의 '아픈 손가락'으로
정부가 강력한 주택 공급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오는 4분기(10∼12월)에 집값이 급등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주택산업연구원은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주택학회,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염태영(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공동으로 주택 공급 활성화 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이날 주제 발표를 맡은 주산연 김덕례 주택연구실장은 "노무현·문재인 정부의 경험에 비춰볼 때 이번 조치의 효과는 3∼6개월에 불과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실장은 "3기 신도시의 신속 공급, 민영주택 공급 촉진을 위한 규제 혁파, 도시 정비 활성화 등 빠르고 강력한 공급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눌려 있던 매매 수요가 저금리와 경기 활성화
광주 전라권 고령층의 언어능력이 10년 사이 40% 넘게 급락하며 인적 자본의 질 저하가 심각한 것으로 나탔다. 반면 같은 연령대의 대구 경부권의 하락 폭은 31%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보였다.한5일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발표한 '인구 고령과와 인적 역량 감소의 지역별 차이'에 따르면 한국의 25~64세 성인의 인적 역량(언어능력)은 전반적으로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분석은 OECD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의 2012년과 2022년 한국 데이터를 활용한 합성 코호트 분석 방식으로 이뤄졌다. 연령별 언어능력은 35~44세에서 11.3%, 45~54세에서 23.1%, 55~64세에서 36.0% 각각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ECD 전체 국가 중 빠른
7월 수입차 시장에서 테슬라의 모델Y가 판매 1위를 기록했다. 이에 힘입어 테슬라가 수입차 시장에서 다시 1위 자리를 탈환했다. 5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모델Y는 7월 한달 간 6559대가 팔리며 베스트셀러 모델 1위를 기록했다. 이어 BMW 520은 1292대, 테슬라 모델3가 798대를 기록하며 2,3위를 차지했다.브랜드별로는 테슬라가 7257대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지난달 1위였던 BMW는 6490대로 2위로 내려섰다. 이어 메르세데스-벤츠 4472대, 렉서스 1369대, 아우디 1259대, 볼보 1015대, 포르쉐 1014대 등이 뒤를 이었다.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가 2만7090대로 6월보다 2.5% 감소했고 지난해 같은 달(2만1977대)보다는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