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공시가격 인상으로 인한 보유세 증가. 코로나 19확산에 따른 경제위기에 대한 우려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2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대비 0.01%하락했다. 부동산114가 조사한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값이 떨어진 것은 작년 6월 첫째(-0.01%)이후 9개월여 만ㅇ이다.
정부의 12·6 대책의 15억원 초과 초고가 아파트 대출 금지 조치와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 등으로 강남권 아파트 단지에 급매물이 늘고 있는데다 코로나 19 악재까지 겹친 영향이 크다. 강남권과 서울 강북의 일부 고가 아파트는 공시가격까지 급등하며 보유세 부담이 커진 다주택자들이 매도로 돌아섰다.
정부 통계 한국감정원의 서울 아파트값은 아직 하락전환하지 않았지마, 지난주와 이번주 연속보합을 기록했고, KB국민은행은 서울이 0.06%올랐으나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줄었다.
이 때문에 당분간 서울 아파트값이 하락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KB부동산 리브온이 조사한 이번 주 서울아파트 시장의 매수우위지수는 81.8로 지난주(91.8)보다 급감했다. 이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적을수록 매수자보다 매도자가 많다는 뜻이다.
부동산114 기준으로 이번 주 송파(-0.17%)·강남(-0.12%)·강동(-0.0%)·서초(-0.04%)·용산구(-0.01%) 등 고가 아파트가 많은 지역 위주로 하락랬다.
이에 비해 중저가 아파트가 몰려있는 노원(0.21%)·구로(0.18%)·관악(0.14%)·금천(0.11%)·도봉구(0.09%) 등은 여전히 상승세를 타고 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