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HOME  >  산업

상반기 삼성 이건희 회장 주식재산 1조7천억↓, 셀트리온 서정진 3조↑

입력 2020-07-09 09:17

(자료=CXO연구소)
(자료=CXO연구소)
[비욘드포스트 강기성 기자] 올 상반기 국내 50대 그룹을 대상으로 주식재산의 증감을 살펴본 결과 셀트리온의 서정진 회장이 6월말 년초대비 주식재산이 3조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삼성 이건희 회장은 1조7000억원 넘게 줄어 대조를 보였다. 또 두산 박정원 회장이 보유한 ‘두산퓨얼셀’ 주식 가치가 3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가 ‘국내 5대 그룹 총수의 2020년 상반기 주식평가액 변동 현황 분석’에서 이같은 결과가 도출됐다고 9일 밝혔다. 대상은 총수역에서 물러났으나 총수역할을 하는 이건희 회장과 정의선 수석부회장 포함시켰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52명 중 39명이 상장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고, 반년만에 1조1026억원(1.9%)감소한 56조5123억원으로 나타났다. 동일기간 가장 많이 주식평가액이 높은 총수는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이다. 서정진 회장은 2조7015억원에서 3094억원으로 100.6% 증가하며 배 이상 증가했다.

카카오 김범수 의장도 1조9067억원에서 3조3446억원으로 1조4300억원(75.4%↑)넘게 상승했다.

반면 올 상반기에만 주식평가액이 30% 이상 쪼그라든 총수도 10명 나왔다. 이 중 한라 정몽원 회장과 OCI 이우현 부회장이 36% 넘게 쪼그라졌다. 한라 정 회장은 1360억 원에서 867억 원으로 493억 원(36.3%↓) 감소했고, OCI 이 부회장은 755억 원에서 481억 원으로 273억 원(36.2%↓) 하락했다.

이외 한국투자금융 김남구 회장 35.8%(7991억 원→5132억 원), 현대백화점 정지선 회장 34.2%(4876억 원→3208억 원),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 33.1%(4조 9975억 원→3조 3425억 원) 정도 주식재산이 증발했다.

올 6월 말 기준 1조 넘는 주식자산가는 12명으로 연초 13명보다 한 명 줄었다. 신세계 이명희 회장은 올 초 1조 1623억 원에서 6월 말 9315억 원으로 1조 주식부자 클럽에서 빠졌다.

상반기 말 기준 주식평가액 1위는 삼성 이건희 회장으로 15조 6485억 원으로 평가됐다. 이 회장의 주식재산은 연초 17조 3800억 원보다 1조 7315억 원 정도 떨어졌다. 코로나19 상황에서 10% 정도 되는 주식재산이 사라져 버린 셈이다.

삼성 이 회장의 아들인 이재용 부회장은 2위를 지켰다. 이 부회장의 주식재산은 7조 2760억 원에서 7조 2581억 원으로 178억 원(0.2%) 소폭 줄었다. 이 회장 부자의 주식 감소폭이 달라진 이유는 삼성전자 주식을 제외하고 이건희 회장은 삼성생명에서 주식재산이 크게 떨어진 반면, 이 부회장은 삼성물산에서 주식가치를 올렸기 때문으로 파악됐다.

그룹 총수 주식재산 넘버3는 셀트리온 서 회장이 꿰찼다. 서정진 회장은 올 초만 하더라도 그룹 총수 주식재산 순위 6위였는데 3위로 껑충 뛰었다. 4위는 SK 최태원 회장으로 1월 초 5위에서 한 계단 전진했다. 최 회장의 주식재산은 3조 3482억 원에서 6개월 새 4284억 원(12.8%↑) 이상 증가했다.

카카오 김범수 의장은 TOP 5에 이름을 올렸다. 김 의장은 올 초만 해도 그룹 총수 주식재산 순위 8위였는데 6월 말에는 다섯 손가락 안에 들었다.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은 3위→6위, 현대자동차 정몽구 회장은 4위→7위로 각각 세 계단 하락했다. 이중 현대차 정 회장은 3조 8629억 원에서 2조 9935억 원으로 22.5%나 하락했다.

39명의 그룹 총수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 종목은 103개였고, 이중 올 1월 2일 대비 6월 30일 주가(종가 기준)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두산 박 회장이 보유한 ‘두산퓨얼셀’ 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종목은 1월 2일 8800원에서 6월 30일에는 3만 2400원으로 268.2%나 퀀텀점프 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106.1%), 한진칼(100.8%)도 주가가 연초 대비 배 이상 올랐다. 코오롱생명과학(78.6%), 카카오(75.4%), 두산솔루스(62.2%), 키다리스튜디오(56.2%), 다우데이타(50.3%)는 연초 대비 상반기 말에 주가가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조사와 관련해 오일선 소장은 “코로나19 정국에서 그룹 총수 보유 주식 종목 중 상당수가 주가가 떨어지다 보니 하락하는 주식가치를 방어하고 보유 지분을 늘리는 기회로 삼은 경우도 생겼지만 일부는 주가 상승으로 보유 지분을 늘리기 어려운 상황도 함께 발생했다”며 “그룹 총수들의 주식평가액은 실질 거래가 있기 전까지는 장부상 금액에 불과하지만 자녀 등에게 주식을 상속하거나 주식을 처분할 경우 상속세 문제와 현금을 확보하는 중요한 자산 중 하나이다.”라고 말했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