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8일부터 19일까지 서울 목동 대한민국예술인센터에서

금번 세미나에서는 수소경제법의 주요내용과 정부 정책방안 및 수소 인프라 구축 확대정책을 시작으로 그린수소 생산 및 액화수소의 현주소와 제반실태를 비롯하여 수소충전소 구축에 관련된 제반정보 및 분석과 수소생산, 저장, 운송, 활용의 전주기에 대한 안전성 대책뿐만 아니라 수소 관련 제조사의 연구 기술개발 사례소개와 사업전략에 이르기까지 최근의 수소에너지 제반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갖게된다.
8월 18일(화) 세미나에서는 ▲수소법(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안)의 주요내용과 정부 정책방안 ▲정부의 수소 인프라 구축 확대정책 및 방향 ▲수소생산 기술의 현주소 및 제반실태 ▲P2G 실증단지 조성과 추진사업 소개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 등)의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P2G 기술개발 실태 및 기대효과와 해외사례 ▲수전해 기술을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 기술개발과 상용화 및 사업화 전망 ▲IGCC 합성가스와 해양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수소생산 기술 실증 ▲국내외 수전해 시장과 기술/연구개발 현황 및 전망, 사업화 전략 등의 주제가 발표된다.
8월 19일(수) 세미나에서는 ▲제이엔케이히터社의 수소 추출기 연구, 기술개발 사례소개와 사업전략 ▲액체수소 기술의 현주소 및 제반실태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사업(창업)의 제반정보 및 분석 ▲안전한 수소저장을 위한 수소탱크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화 및 발전전망 ▲Suggestion for the Global Hydrogen Supply Value Chain ▲국내,외 수소산업 전략 및 수소충전 인프라 최적 운영방안 ▲수소생산ㆍ저장ㆍ운송ㆍ활용의 전주기 안전 기술개발 현황 등의 주제가 이어서 발표된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향후 국내외적인 수소경제사회로의 전환으로 수소 사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할 것이 예상되며 이러한 수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낮은 가격으로 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수소 공급 밸류체인과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연구기술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면서 “금번 세미나를 통하여 에너지믹스 변화 및 기술혁신의 수소에너지 생산, 저장, 수송, 활용 등 인프라 구축을 소개하고 참여 기업의 연구기술개발 동향 및 향후전망과 사업전략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