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ad

logo

ad
ad

HOME  >  산업

골목상권이 '막다른 골목'에 내몰리고 있다.

입력 2021-07-12 09:09

한경연조사 올 상반기 매출액 전년비 21.8% 감소

골목상권이 '막다른 골목'에 내몰리고 있다.
[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코로나19로 골목상권이 '막다른 골목'에 내몰리고 있다.

12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골목상권 자영업자(521명 응답)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상반기 골목상권 현황 및 하반기 전망 조사'를 진행한 결과, 골목상권 자영업자 10명 중 8명(78.5%)은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지난해 상반기 보다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금액 기준으로는 평균 2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매출액 감소폭은 ▲옷가게·화장품가게·꽃가게 25.8% ▲식당, 카페 등 음식점 25.2% ▲노래방·세탁소 등 기타업종 24.9% ▲미용실·피부관리소 24.5% ▲슈퍼마켓, 편의점, 정육점 등 식료 소매점 19.9% ▲부동산, 인테리어, 자동차수리점 등 개인서비스 19.4% ▲학원(예체능 포함) 16.3% 순이었다.

감소원인으로는 코로나19 지속으로 골목상권 경기 악화(58.2%)를 가장 많았고 같은 상권 내 동일 업종 간 경쟁 심화(16.2%), 경쟁 상권 활성화로 해당 상권 침체(15.7%) 도 있었다.

골목상권 자영업자의 73.5%는 올해 상반기 순이익주이 작년 상반기보다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감소액은 평균 17.7%로 나타났다.

업종별 순이익 감소폭은 ▲노래방·세탁소 등 기타업종 21.5% ▲옷가게·화장품가게·꽃가게 20.6% ▲식당, 카페 등 음식점 19.7% ▲미용실·피부관리소 19.7% ▲부동산, 인테리어, 자동차수리점 등 개인서비스 16.1% ▲슈퍼마켓, 편의점, 정육점 등 식료 소매점 14.8% ▲학원(예체능 포함) 14.2% 순이었다.

순이익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자영업자들은 ▲매출 감소(56.6%) ▲원재료비 상승(13.6%) ▲인건비 상승(13.0%) ▲공과금 상승(7.2%) ▲임차료 상승(6.7%) 등을 순이익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골목상권 경기 악화는 일자리에도 악영향을 미쳐 응답한 자영업자의 33.6%는 작년 상반기 대비 고용인원이 감소했다.

골목상권 자영업자들은 올해 하반기 골목상권 경기도 어두울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 자영업자 중 과반인 65.3%가 올해 하반기 매출이 작년 하반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액 기준으로는 평균 11.7%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자영업자들은 골목상권 경기 활성화를 위해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 및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35.2%) ▲최저임금 인상 자제 등 인건비 부담 완화(23.7%) ▲전기·수도요금 등 공공요금 부담 완화(16.5%) ▲보조금 지급, 금융지원 등을 통한 신규 창업 활성화(15.5%) ▲골목상권 업체 대상 사업 컨설팅 지원(8.3%)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