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ad
ad

logo

ad
ad

HOME  >  경제

'WHO 담배 위해감축 정책' 성명서 공개, 한국건강위해감축연구회 한국 대표로 참여

입력 2021-10-28 10:56

- 전 세계 공중보건 전문가들이 말하는 위해감축 정책의 필요성

[비욘드포스트 김민혁 기자] 한국건강위해감축연구회(회장 문옥륜)는 지난 18일 공개된 '세계보건기구 담배 위해감축 정책' 관련 성명서에 한국 대표로 참여했다.

해당 성명서는 전 세계 100명의 공중보건 및 니코틴 정책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한국에서는 한국건강위해감축연구회 이사와 한성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있는 박영범 교수가 한국에서는 유일하게 성명서에 이름을 올렸다.

해당 성명서는 다가오는 11월에 열리는 'WHO FCTC 제9회 당사국 총회'에 참석 예정인 각국의 대표단에게 전달된다.

이들은 세계보건기구(WHO)가 담배 규제에 대한 기존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담배 위해감축 정책을 인정하는 현대화된 정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받아들여야 하는 7가지의 이유를 제시하는 'Letter from one hundred specialists in nicotine science, policy and practice' 성명서를 공개했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7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담배 위해감축이 공중 보건에 중요한 기회(opportunities)를 제공한다는 점 △액상형 전자담배가 금연의 방식(driver of smoking cessation)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 △담배 위해감축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 △주요 규제당국의 평가(regulatory assessment)와 경험들이 궐련형 전자담배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는 점 △정책 입안자들은 정책 제안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 △청소년의 전자담배 사용에 대해 보다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는 점 △담배 위해감축 정책에 대한 공중보건적 지지(support)가 있다는 점 등이다.

WHO가 담배 규제를 분석할 시 흡연자에 대한 이익과 위험성을 평가하고, 공중 보건에 이익을 주는 위해성 감소 제품에 대한 불합리한 장벽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당사국 총회에 참석하는 각국의 대표단에게 WHO의 기존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해 의문점을 가지고 보다 적극적인 논의를 이어 나갈 것을 촉구했다.

박영범 교수는 "담배 연기로 인한 사망자 숫자를 하루빨리 줄여야 한다. WHO가 담배 규제에 대한 기존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담배 위해감축 정책을 인정하는 현대화된 정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라며 "세계 저명한 전문가들이 담배위해감축 정책의 도입을 촉구한 만큼, 이번 당사국 총회에서 담배 위해감축 정책에 대한 유의미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2003년 WHO 총회가 만장일치로 의견을 내세운 보건 분야 첫 국제협약인 WHO FCTC는 FCTC는 당사국 총회를 2년에 한 번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는 11월 8일부터 13일까지 제9차 당사국 총회가 온라인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이번 성명서에는 박영범 교수를 비롯해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데이비드 너트(David Nutt) 교수, 루스 보니타(Ruth Bonita) 前 세계보건기구 비전염성 질환 감시 국장(Who Department of NCD Surveillance), 예일대학교 아비게일 프리드먼(Abigail S. Friedman) 교수, 뉴욕대학교 데이비드 아브람스(David B Abrams) 교수와 레이몬드 니아우라(Raymond Niaura) 교수 등이 각각 참여했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