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솔트룩스이노베이션은 본 사업의 주관 기업으로 선정되어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과 함께 지난 7월 1일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종료 시점은 오는 12월 31일이다.
광주광역시와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이 추진한 ‘2023년 AI+X 지역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본 사업은 김남주 시인의 AI 시 낭송 서비스와 개인화 음성합성 P-TTS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보이스 플러스(가칭)’ 개발을 골자로 한다.
본 플랫폼은 음성합성 기술로 생성한 김남주 시인의 시낭송 스트리밍 서비스로, 다양한 표현과 감정이 담긴 시 낭송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김남주 시인은 80, 90년대 민주화 운동의 시대정신을 문학작품 속에 체현한 대표적인 시인이다.
특히 김남주 시인이 생전에 직접 낭송한 ‘진혼가’ 등 총 10작품과 김남주 시인의 AI 보이스가 낭송하는 ‘무등산을 위하여’, ‘사랑은’ 등 8작품을 모두 무료로 재생할 수 있다.
플랫폼에 적용된 음성합성 기술은 음성합성 목소리의 품질을 평가하는 MOS(Mean Opinion Score)의 정량 목표인4.1 이상, 3.5 이상을 달성한 것은 물론 음성합성 테스트 API 호출 시 3초 이내의 평균 응답 속도를 갖추고 있어 사용자들이 높은 수준의 품질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개인 음성합성 P-TTS(Personal-TTS) 서비스를 통해 감정, 발화 속도 등을 조절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변환된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해당 서비스는 실시간 스트리밍은 물론 다운로드도 가능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트룩스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장기적으로 지역 문화산업 및 콘텐츠 산업 성장을 도모하는 한편, 음성합성 기술 확보를 통한 문화콘텐츠 플랫폼 시장 구축 및 콘텐츠 제작 비용 절감 등 고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된다”라며 “이번에 개발된 음성합성 기술을 바탕으로 향후 고인 또는 역사적 인물의 목소리 복원 서비스, 개인 맞춤형 음성합성 서비스, 김남주 시인 메타버스 문학관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 서비스 고도화에 나설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또한 새로운 문학적 향유 기회를 마련하고 개인 맞춤형 음성 콘텐츠 제작을 통해 고객 경험을 향상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주식회사 솔트룩스이노베이션은 2008년에 설립된 회사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그래프DB, 클라우드, 콘텐츠 관리 솔루션, 개인영상 정보 보호 솔루션 및 홈페이지 개발 기업이다. 2022년 솔트룩스파트너스와 광주인공지능센터를 흡수합병하여 정보처리 컨설팅, 번역, 챗봇 지식베이스 구축 등 사업영역을 확장하였다. 모기업 솔트룩스의 기술을 이전받아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상용화 하고 있으며, 지난해 68억의 매출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 80억의 매출 예상되는 등 빠르게 성장 중이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