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 기술, 소방 방화구획 및 내화구조, 스마트 소방 방재 기술 및 공동주택 등 3개 기술관으로 구성

(사)한국소방기술사회와 마이스포럼(대표 안형식)이 공동 주관하는 소방 방재 기술 산업전은 ‘선진 소방 방재 기술의 고도화(高度化)’라는 슬로건 아래 2018년부터 매년 열려왔다. 국내외 소방 방재 산업 기술의 활성화와 관련 기업 간의 비즈니스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참여 기업들은 신제품 및 신기술을 파악하고 희망 바이어 유치를 통해 매출 증대의 기회를 잡아왔다.
이번 전시전은 소방설비 기술, 소방 방화구획 및 내화구조, 스마트 소방 방재 기술 및 공동주택 등 3개 기술관으로 구성된다.
전시품목은 소방정보시스템, 정보전달시스템, 제연설비, 관제시스템·비상방송, 피난유도, CCTV·홈네트웍스, 내화채움구조·내화건축자재, 내진/면진제품, 화재경보시스템, 내진설계·기자재, 제품S/W, 시뮬레이션·가상체험관, 계측·제어공학, 소방방재제품, 방재설비, 감지 및 센싱기술, 자동화재탐지설비, 소방기계설비, 소방전기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방화문·방화셔터, 화재 안전 장비, 소방로봇·EV배터리, 드론·AI정보통신 등이다.
전시 사무국 관계자는 “올 해부터 공동주택과 창고시설의 소방시설 설치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관련 기준에 맞는 설비들을 준비해야한다”라고 말했다.
올해부터 강화된 소방시설 설치기준에 따르면 신축이나 증축, 용도가 변경되는 공동주택엔 호스 꼬임 현상이 덜해 혼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호스릴 방식의 옥내소화전과 비화재보에 효과적인 아날로그 방식 등 특수감지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또한 스프링클러와 소화기, 유도등, 주방자동소화장치 등 관련 기준이 변화됐다. 특히 지하주차장 스프링클러 설비 기준 개수는 10개에서 30개로 대폭 확대됐다.
전시 사무국 관계자는 “이번 산업전을 통해 바뀐 기준에 맞는 다양한 방재 기술과 상품을 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시 사무국은 온/오프라인을 통해 참가 기업 신청을 받고 있다. 최종 마감은 4월 30일이며, 부스 소진 시 조기 마감된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