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S는 세계최대 IT 및 전자 기술 박람회로서 이번 행사의 핵심 이슈는 환경과 사람 중심의 AI와 DX(디지털 전환)이었다. 엔비디아, 삼성, LG, SK 등 AI 중심의 디지털 전환의 세계 선두 그룹들이 미래기술을 선보였다.
이번 CES 2025에서 선보인 AI(인지 감응) 컨트롤러는 2024년 대한민국 유망 특허기술 탄소 감축 혁신기술 부문 대상을 수상한 기술로써 전기이륜차의 배터리 방전 전력을 기동 간에 약 25%~50%를 회수하여 재발전하는 기술로써 2024년 공인기관의 시험 결과 50% 이상의 효율이 증명되었다.
특히 컨트롤러 부품 자체만으로도 동조 업계 기술 대비 22%라는 혁신적인 효율 향상이 검증된 기술로써 2022년 G20 세계 정상 회의에서 기술 시연을 통해 56.7%의 효율 향샹이 증명되어 많은 국가로부터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약 700개의 소프트웨어 부품으로 구성된 AI컨트롤러는 2025년 하반기부터 부품에 대한 대량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주식회사 나노엔지니어링 및 데이탐의 해외담당 CEO(이영철)는 “이번 행사를 통해 약 7개 해외 기업과의 부품 공급 및 완성 제품 합작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였고 특히 탄소 감축 플랫폼을 유럽과 미국의 ESG 기술 중심의 유관기업들과 CES 행사 이후 구체적인 협의를 통해 탄소 감축 데이터 기반의 합작 사업을 발전시켜 나가기로 하였다”고 그 성과를 밝혔다.
데이탐의 특허기술인 탄소 감축 모니터링 플랫폼은 AI 리젠 컨트롤러 기술로 회수되는 전력 에너지를 국가별 탄소 감축 방법론으로의 인증과 표준화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전 세계 약 25억 대의 천문학적인 모빌리티 산업이 탄소중립과 ESG로의 대전환점에서 대한민국의 차별화된 환경기술로 글로벌 시장 선점의 기회를 잡아 데이탐이 기후 기술의 세계 최고 성공기업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