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ad

HOME  >  연예

제14회 황순원문학상, 주수자·차인표·김구슬 수상

입력 2025-08-05 09:23

황순원문학상 작가상에 주수자, 신진상 차인표

[사진] 수상자_주수자,김구슬,차인표
[사진] 수상자_주수자,김구슬,차인표
[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훈민정음 해례본의 추적과 보존을 둘러싼 역사적 서사를 그린 장편소설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로 소설가 주수자가 제14회 황순원문학상 작가상을 수상했다. 황순원기념사업회는 지난 1일, 올해 문학상 수상자를 발표하며 주수자 작가의 작품이 “문학의 본질과 민족 언어의 정체성을 치열하게 되묻는 서사”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황순원작가상을 수상한 작품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는 실존 국문학자 김태준이 해례본의 실체를 쫓는 여정을 바탕으로, ‘글자’와 ‘말’의 역사, 문자에 담긴 민족성과 보편성을 다층적으로 구성했다. 이중 나선구조로 얽힌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를 넘나드는 이 소설은, 한글의 창제부터 수난, 보존에 이르기까지 생생한 언어의 생애사를 문학적으로 펼쳐낸다.

주수자 작가는 수상소감에서 “마치 황순원 선생님께서 손수 문학상을 선물로 주신 것 같다”며 “문학에 대한 정열, 작가 정신, 그리고 순수함과 진실함을 누구보다 지켜낸 황순원 선생님의 이름을 가까이 지니게 되어 더할 나위 없이 영광”이라고 밝혔다.

주수자 작가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한 뒤, 프랑스·스위스·미국 등지에서 생활하다 2001년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버펄로 폭설』, 시집 『나비의 등에 업혀』를 비롯해 희곡 『빗소리 몽환도』, 『복제인간 1001』 등을 연극 무대에 올렸으며, 『빗소리 몽환도 Night Picture of Rain Sound』는 영국과 몽골에서 번역 출간되기도 했다. 실험성과 역사성을 아우르는 다층적 서사 구조를 통해 독자와 평단의 주목을 받아왔으며, 이번 장편은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된다.

한편, 황순원신진상은 소설 『인어사냥』(해결책)으로 독창적인 상상력을 선보인 차인표 작가가 수상해 주목받았다. 그는 “황순원문학상 신진상은 앞으로도 계속 소설을 써도 좋다는 조용한 허락처럼 다가왔다”며 “더 겸손히, 진심을 담아 쓸 수 있는 작가가 되겠다”고 밝혔다. 배우이자 스토리텔러로 활동해온 차인표는 이번 수상을 통해 본격 문단 데뷔의 의미를 더하게 됐다.

황순원양평문인상에서는 시인 강정례가 시집 『우리 집엔 귀신이 산다』(푸른산)로 대상을 수상했고, 노순희 시인과 김은희 수필가는 꾸준한 지역 문학 활동과 집필 성과를 인정받아 우수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황순원문학상은 ‘소나기’의 작가 황순원의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 양평군, 경희대학교, 중앙일보가 공동 주최하고 황순원기념사업회가 주관한다. 올해 시상식은 9월 12일 오후 4시,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에서 개최된다.

sglee640@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