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ad
ad

HOME  >  경제

한국저작권위원회, 2025 공유·공공저작물 어워즈 개최

김신 기자

입력 2025-11-11 16:01

‘공유로 더해가는 창작의 즐거움’을 주제로 시상식·토크콘서트·나눔콘서트·체험행사 등 나눔의 가치를 함께 즐기는 저작권 축제의 장
사전 신청 없이 국민 누구나 무료로 참석 가능해

한국저작권위원회, 2025 공유·공공저작물 어워즈 개최
[비욘드포스트 김신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 이하 문체부)가 주최하고 한국저작권위원회(위원장 강석원, 이하 위원회)와 한국문화정보원(원장 정운현, 이하 문정원)이 주관하는 ‘2025 공유·공공저작물 어워즈’(Public Domain Awards 2025)가 오는 11월 12일(수), KOCCA 콘텐츠문화광장(서울 동대문구 소재)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까지 개최된 ‘공유·공공저작물 국제 콘퍼런스’를 새롭게 개편한 것으로, 국민이 직접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축제형 행사’로 마련되었다. ‘저작권 축제의 달’인 11월을 맞아 열리는 이번 어워즈는 시상식, 토크콘서트, 공연, 체험행사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공유 문화의 가치와 창작의 즐거움을 함께 나누는 자리다. 별도의 사전 신청 없이 당일 현장 참석이 가능한 이번 행사는 좌석이 한정되어 있어 선착순 마감될 수 있으며, 자세한 정보는 어워즈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림과 함께하는 토크콘서트 – ‘공유로 더해가는 창작의 즐거움’

올해 어워즈의 하이라이트는 싱어송라이터 하림이 진행하는 토크콘서트다. ‘공유로 더해가는 창작의 즐거움’을 주제로, 하림은 자신이 경험한 음악 창작과 협업 사례를 토대로 공유와 나눔이 창작자에게 어떻게 새로운 영감과 기회를 만들어주는지 관객과 함께 이야기한다. 또한 하림은 올해 명예기증자로도 선정되어, 창작자의 나눔이 만들어내는 선순환의 의미를 무대에서 직접 전할 예정이다.

시상식과 나눔콘서트 – 저작권 기증으로 이어지는 창작의 선순환

본 행사에서는 ▲2025 명예기증자, ▲저작권 등록 100만건 기념 수여, ▲공유저작물 창작공모전, ▲공공저작물 활용사례 공모전, ▲공공저작물 개방 우수기관 등 다양한 부문에서 총 30여 명이 수상의 영예를 안는다.

특히 한국만화가협회 신일숙 협회장, 웹툰 작가 키몽(‘소심한 호랭이 코코’ 작가) 등이 올해 명예기증자로 선정되어, 저작권 기증을 통한 나눔 문화 확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는다.

한국저작권위원회, 2025 공유·공공저작물 어워즈 개최

어워즈의 오프닝과 클로징 무대에서는 ‘나눔콘서트’가 진행된다. 먼저 오프닝 무대는 저작권 기증의 의미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생동감 크루’의 미디어 퍼포먼스가 진행되고, 역대 음악 기증저작물을 새롭게 해석한 ‘오페라 그룹 루체(LUCE)’의 공연이 어워즈의 피날레를 장식하며 예술적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공유·공공저작물 팝업스토어’ – 공유저작물을 직접 보고, 만들고, 즐기다

부대행사로는 ‘공유·공공저작물 팝업스토어’가 운영된다. 참가자들은 공유마당 누리집을 통해 눈으로만 보던 이미지·콘텐츠를 넘어, 공유저작물을 활용해 제작된 굿즈를 직접 보고, 만지고, 체험할 수 있다.

특히 ▲공유저작물 와펜으로 나만의 파우치 꾸미기, ▲창작이·나눔이와 함께하는 인생네컷 포토존 등 관람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으며,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환권과 기념품도 제공된다.

‘커피와 함께하는 기증 전시회’ – 일상 속에서 만나는 공유저작물

또한 상명대, 단국대, 동국대 등과 협업해 기증받은 사진·영상 저작물을 전시하는 ‘기증저작물 특별전’도 열린다. ‘커피와 함께 즐기는 기증저작물’을 콘셉트로 한 이번 전시는 관람객이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저작물을 감상하며,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공유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진다.

“공유는 새로운 창작의 출발점” – 저작권 생태계의 선순환을 위해

위원회 강석원 위원장은 “공유저작물과 공공저작물은 ‘함께 나누는 창작의 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며, 이번 어워즈가 국민이 직접 공유 문화를 체험하고, 나눔이 만들어내는 창작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김신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