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성장·저물가 기조가 짙어지면서 디플레이션 우려도 커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9년 3분기 실질 GDP(잠정치)'에 따르면 3분기 실질 GDP는 전기대비 0.4%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월 발표된 속보치와 같았다. 3분기 마지막 달의 일부 실적치 반영으로 건설투자는 0.8%포인트 하향 조정됐으나 수출은 0.5%포인트, 민간소비는 0.1%포인트 상향조정됐다.
올해 한은의 전망대로 2.0% 성장률을 달성하려면 남은 4분기 0.97% 이상 성장해야 한다. 관건은 막바지 재정을 쏟아붓고 있는 정부소비가 얼마나 성장세를 견인할 수 있을지다. 정부와 한은을 제외한 민간에서는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세를 감안해 사실상 올해 2%대 성장은 어려울 것으로 보는 전망이 많다.
GDP에 대한 지출항목별로 보면 건설투자는 6.0% 감소했다. 속보치보다 0.8%포인트 후퇴한 것으로 지난해 3분기(-6.0%) 이후 최저치를 나타내다. 설비투자도 0.6% 증가에 그쳤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0.2%로 전분기(0.7%)보다 다소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수출은 반도체 수출물량 개선 등으로 4.6%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2분기 2.2%에서 3분기 1.4%로 큰 폭 둔화했다. 상반기 재정 조기집행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의 성장 기여도는 2분기 1.2%포인트에서 0.2%포인트로 크게 꺾였다. 3분기에는 재정 약발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한 셈이다. 민간의 성장 기여도는 0.2%포인로 2분기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회복됐다.
저물가 흐름도 이어졌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반영하는 물가지수인 GDP디플레이터(명목GDP/실질GDP)는 전년동기대비 1.6% 하락했다. 지난해 4분기부터 4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2015년을 기준년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0년 1분기 이후 역대 최저치이기도 했다. 구계열(2010년 기준년) 기준으로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였던 1999년 2분기(-2.7%) 이후 가장 낮았다.
국민이 일정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대비 0.6% 증가해 2분기(0.2%)보다 높아졌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