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수제 필터 면 마스크 크기에 맞게 새 필터로 교체 시 세탁 전·후의 비말(침방울)입자차단효과가 비슷해 재사용도 가능하다.
기존 시판중인 일회용 보건용 마스크와 달리 계속 사용할 수 있어 마스크 품귀현상에 대한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보건환경연구원은 강동구 새마을부녀회에서 제작한 수제 필터 면 마스크(정전기필터부착, 대·중·소 3종)와 덴탈마스크(3종)에 대해 비말입자차단효과를 측정하는 분진포집효율 시험도 실시했다.
수제 필터 면 마스크는 평균 80%~95%, 덴탈마스크 66%~70%로 KF80 보건용 마스크(평균입자크기 0.6㎛, 80%이상 차단)와 성능이 비슷했다.
비말입자차단효과(분진포집효율) 시험은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미세입자를 걸러주는 비율을 확인한다. 보건용 마스크 KF80은 미세입자(평균입자크기 0.6㎛)를 80% 이상 차단, KF94는 미세입자(평균입자크기 0.4㎛)를 94% 이상 차단해야 한다.
시중의 일반 면 마스크나 정전기필터를 제거한 수제 필터 면 마스크의 경우 비말입자차단율이 16%~22%로 보건용 마스크 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일반 면 마스크도 큰 사이즈(3㎛ 이상)의 비말을 차단하는 효과는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보다 완벽한 차단효과를 위해서는 정전기필터를 부착해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