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개통 6개 노선서 250만명 수송…짐배송 등 서비스 개선도 ‘한몫’
승객이 가장 많은 날은 어린이날 황금연휴가 시작된 5월 3일 54만명, 4일에 53만명이었다. 이용객이 많은 역은 서울역(11만 8000명), 동대구역(5만 2000명), 대전역(5만 1000명) 등 KTX 정차역이다.
지난해 보다 이용객이 가장 많이 늘어난 역은 중앙선과 동해선 신규 개통의 영향을 함께 받은 부전역으로, 하루 3000명이 타고내려 2024년 대비 2.2배 늘었다. 중부내륙선 연장개통 이후 판교역은 1.6배 늘었다. 특히, 감곡장호원역은 인근 대학교와 협의해 하루 5회(왕복) 셔틀버스를 운행한 이후 승객이 1.4배 증가했다.
가장 많이 이용한 구간은 서울↔부산으로 모두 369만명, 이어 서울↔대전은 256만명이 승차했다.
지난해 말부터 개통한 동해선(강릉~부전, 강릉~동대구), 중앙선(서울·청량리~부전) 등 6개 신규 노선에서 모두 250만명을 수송하며 지역민의 이동 편의를 높이고 전국 철도망을 더욱 촘촘하게 연결했다.
동해선(강릉~부전, 강릉~동대구)은 강원도와 경상도를 잇는 핵심 교통축으로서 동해안 생활권을 새로 만들었다. 그동안 강릉∼동해, 포항∼부전이 따로 운영되다가 올해부터 중간의 삼척~영덕 구간이 개통하며 전 구간이 연결됐다.
상반기 이용객은 하루 평균 5500명, 누적 99만 2000명이다. 승객이 가장 많은 구간은 최장거리 구간인 강릉↔부전으로 하루 평균 445명(비중 7.9%)이 이용했다.
거리별로 보면 100km 이상 구간 이용객이 전체 이용객의 약 45% 수준으로 출퇴근과 관광 비중이 비슷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앙선(청량리~부전)은 지난해 12월 20일 안동~영천 개통으로 청량리~부전까지 전 구간이 연결돼 서울과 부산을 잇는 새로운 종축으로 부상했다. 상반기 누적 이용객은 98만 7000명으로, 하루 평균 5400명이 탔다.
중부내륙선(판교~문경)은 지난해 11월 30일 문경까지 연장개통 이후 승객이 68% 증가해 상반기 하루 평균 1600명, 누적 29만명이 이용했다. 승용차 대비 최소 30분, 시외버스 대비 90분 이상 빨라져 판교↔문경 구간의 이용객 수가 전체 구간의 21%를 차지한다.
서해축(서해선, 포승-평택선) 상반기 누적 이용객은 모두 12만명이다. 20여년 만에 다시 개통한 교외선(대곡~의정부)에서는 모두 10만명, 하루 평균 600명이 열차를 탔다. 지난 4월 열차 운행횟수를 기존 8회에서 20회로 늘린 후 하루 평균 승차인원이 745명으로 늘었다.
지난해 12월 개통한 대경선(구미~경산) 광역철도의 상반기 이용객은 누적 253만명, 하루 1만 4000명으로 대구경북 지역 주민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
대경선 개통의 영향으로 해당 구간에서 하루 평균 약 8000명 가량의 철도 신규수요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구간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 누적 승객이 지난해 176만명에서 올해 74만명으로 하루 평균 5600명 줄어든 것에 비해, 대경선은 그보다 8000명 많은 1만 4000명이 이용했다.

동해선 울진과 영덕에서는 베테랑 기사가 유명 관광지를 안내하는 관광택시 연계 철도상품을 개발했으며, 중부내륙선 문경에서도 맛과 멋 1박 여행상품 등 신규 상품을 통해 인기를 끌고 있다.
6월부터는 전국 주요 지역축제 일정을 모바일로 확인하고 기차여행 상품을 바로 예약할 수 있는 ‘지역축제 기차여행 캘린더’ 서비스를 시작했다. 7월에는 인구감소지역 지원을 위한 ‘지역사랑 철도여행’과 ‘농촌투어패스’를 결합한 특가상품을 출시하며 전폭적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2월 다시 문을 연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도 이용객이 꾸준하다. 올해 상반기에만 2만명, 하루 평균 111명이 도심공항터미널에서 출국수속을 밟았다.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을 이용하면 탑승수속과 수하물 위탁까지 한번에 가능하고 인천공항에서 도심공항 승객 전용 출입문을 통해 빠르게 출국심사를 받을 수 있다. KTX를 타고 지방에서 오는 인천공항 이용객들이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수하물을 미리 부칠 수 있어 더욱 편리하다. 특히, 도심공항이 문을 여는 오전 6시 30분부터 미리 수속을 진행할 수 있어, 인천공항 출국장에서 여유롭게 면세 쇼핑과 라운지 등을 즐길 수 있다.
지난 2022년부터 시작한 철도역 짐배송 서비스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휴가철 두 손 가볍게 기차여행할 수 있도록 역과 숙소 간 짐을 옮겨주는 서비스다. 기존에는 역에서 현장 접수하거나 운영업체 홈페이지에서만 예약이 가능했으나 지난해 6월부터 모바일앱 ‘코레일톡’에서도 ‘코레일형 MaaS’의 일환으로 함께 서비스하고 있다.
서울, 부산, 강릉 등 전국 13개 역에서 이용할 수 있고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2023년 9만 8000건을 시작으로, 지난해 12만 9000건으로 30% 증가했고, 올해 상반기에 이미 8만건의 실적을 올렸다.
코레일 관계자는 “철도망이 더욱 촘촘해질수록 지방에 새로운 활력이 돌고 있다”며 “국민이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철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신용승 기자 credit_v@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