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4일 개원식, 정부·산업계 400여 명 참석…국내 최대 규모 융합연구 거점

AI혁신연구원은 대학·기업·정부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국가적 규모의 ‘학·산·연(學産硏) 연계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거점 기관으로, 국내 AI 연구소 가운데 단일 기관으로는 최대 규모다.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사회·인문·경영·의료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연구의 허브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개원식에는 윤동섭 총장을 비롯해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부위원장, 송호성 기아 대표이사 사장 등 정부와 산업계 주요 인사, 교내 연구진 등 400여 명이 참석한다. 특히 임문영 부위원장의 축사가 포함돼 있으며, 정부·학계·산업계가 함께 참여하는 국가적 AI 협력의 장으로 진행된다.
개원식 이후에는 기념 컨퍼런스가 열린다. 김용학 전 연세대 총장이 ‘AI Emergence: AI 능력과 위험의 이중성’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일본 RIKEN의 마사시 스기야마(Masashi Sugiyama) 교수와 구글(Google)의 요시 마티아스(Yossi Matias) 부사장이 강연자로 참여한다.

‘인간과 AI의 지속가능성’ 세션에서는 SK텔레콤, 마이크로소프트, 연세대·경희대 등 학계 전문가들이 함께 AI 거버넌스, 윤리, 교육 혁신 등 AI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방향을 모색한다.
연세대 AI혁신연구원은 AI 응용기술 개발을 넘어 의료, 사회, 인문, 교육, 산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의 사회적 가치 실현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연구원 산하에는 ▲AI거버넌스·안보센터 ▲AI기술연구센터 ▲AI미래혁신센터 ▲AI에듀테크센터 ▲AI의료기술센터 ▲AI휴머니티센터 등 6개의 전문 연구센터가 있으며, 각 센터는 신뢰할 수 있는 AI 정책과 윤리 연구, 산업 AI 기술 개발, AI 교육 혁신, 정밀의료 기술 개발, 인문사회적 통찰 연구 등 학제 간 융합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또한 연구원은 ‘AI와 인간, 그리고 사회를 연결하는 융합연구의 허브’를 비전으로 삼아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학제 간 협력과 국제 공동연구를 강화하고, AI가 사회 곳곳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전략과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윤동섭 총장은 “연세대 AI혁신연구원은 AI를 효율과 속도의 언어로만 바라보지 않고, 사회·인문·의료 등 다양한 영역과의 융합을 통해 AI가 인류의 존엄과 공동체의 가치를 확장하는 길을 찾겠다”며 “깊이 있는 연구와 열린 협력을 통해 책임 있는 AI 시대의 길잡이가 되겠다”고 말했다.
AI혁신연구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연구원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bjlee@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