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와 공작기계 안전생태계 구축 위한 MOU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 이사장 김현중, 이하 ‘공단’)은 26일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협회장 계명재, 이하 ‘협회’)와 공작기계로 인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공작기계 안전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산업현장에서 ‘기계의 어머니’라고 불리는 공작기계는 모든 산업의 기본이 되는 핵심 설비이다. 최근에는 IT기술과 네트워킹을 활용한 융·복합 공작기계로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공작기계로 인한 산업재해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지난 6월 경남 창원 소재 공장에서도 공작기계로 인한 사고사망재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공단은 노동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협회와 업무협약을 추진했다.
협약에 따라 공단과 협회는 상호 협력을 통해 사고 없는 일터, 안전한 대한민국을 실현하는 안전주체로서 노동현장의 안전 인프라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양 기관은 ▲공작기계 안전장치 정상 유지, 위치·고장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알려주는 관제시스템 도입 ▲안전인증(KCs, S마크), 자율안전확인신고 등 안전성이 공인된 공작기계의 도입에 대한 재정지원 ▲사고사례, 자율예방점검표 보급(QR코드) ▲안전기술 발전 분과위원회 운영 ▲협회 주관 전시회 시 안전홍보관 운영을 공동협력한다.
이번 협약으로 공단은 특히 재정지원사업을 통한 지원으로 산업현장에 공급되는 공작기계에 지능형 IoT(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관제시스템의 보급을 위해 주력한다. 이를 통해 안전장치의 적정한 사용, 위치정보 및 고장신호를 상시 모니터링해 공작기계의 안전한 사용과 예방점검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김현중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은 “앞으로 협회와 함께 공작기계의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노동자의 생명을 지키고, 산업현장에 안전한 공작기계의 사용이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신용승 기자 credit_v@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