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분석결과...2위 쌍용C&E, 3위 한일시멘트 순
![[브랜드평판] KCC, 2022년 5월 건축자재 상장기업...1위](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205130854560582246a9e4dd7f220118192127.jpg&nmt=30)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건축자재 상장기업 35개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지난 4월 13일부터 5월 13일까지의 건축자재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31,772,697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건축자재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했다.
건축자재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2년 5월 빅데이터 분석 10위 순위는 KCC, 쌍용C&E, 한일시멘트, 동화기업, 고려시멘트, 삼표시멘트, 유진기업, 성신양회, KCC글라스, 벽산 순이었다.
![[브랜드평판] KCC, 2022년 5월 건축자재 상장기업...1위](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205130855500475846a9e4dd7f220118192127.jpg&nmt=30)
건축자재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KCC ( 대표 정몽진, 정재훈 ) 브랜드는 참여지수 257,623 미디어지수 843,970 소통지수 1,863,578 커뮤니티지수 820,062 시장지수 1,644,98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430,218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4,506,678과 비교하면 20.49% 상승했다.
2위, 쌍용C&E ( 대표 홍사승, 이현준 ) 브랜드는 참여지수 240,431 미디어지수 285,049 소통지수 259,566 커뮤니티지수 282,176 시장지수 2,149,29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216,520으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2,988,703과 비교하면 7.62% 상승했다.
3위, 한일시멘트 ( 대표 전근식 ) 브랜드는 참여지수 187,425 미디어지수 244,743 소통지수 352,295 커뮤니티지수 310,210 시장지수 706,11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800,787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1,635,006과 비교하면 10.14% 상승했다.
4위, 동화기업 ( 대표 김홍진 ) 브랜드는 참여지수 202,607 미디어지수 239,869 소통지수 247,024 커뮤니티지수 269,250 시장지수 825,92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784,676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1,968,408과 비교하면 9.33% 하락했다.
5위, 고려시멘트 ( 대표 구희택 ) 브랜드는 참여지수 450,179 미디어지수 277,410 소통지수 239,881 커뮤니티지수 203,755 시장지수 73,72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44,948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734,374와 비교하면 69.53%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2년 5월 건축자재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KCC 브랜드가 1위로 분석됐다. 건축자재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4월 건축자재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29,631,016개와 비교하면 7.23%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 소비 12.07% 상승, 브랜드 이슈 19.38% 상승, 브랜드 소통 9.39% 상승, 브랜드 확산 8.58% 상승, 브랜드 시장 2.85%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