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ad

HOME  >  경제

결혼정보회사 가연, 미혼 500명 ‘결혼 가치관 변화’ 공개

입력 2023-02-03 14:37

자료 : 가연결혼정보㈜
자료 : 가연결혼정보㈜
[비욘드포스트 김민혁 기자] 결혼정보회사 가연은 지난 12월 오픈서베이를 통해 미혼남녀 500명(25세~39세, 각 250명)의 ‘펜데믹 결혼관’에 대해 알아봤다.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4.4%P) 과연 지난 3년 간의 펜데믹 상황은 이들의 결혼 가치관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코로나19와 펜데믹 이후, 결혼관에 대한 변화’는 1번 ‘원래 결혼을 하고 싶었고, 여전히 하고 싶다(44.4%)’, 2번 ‘원래 결혼을 하고 싶지 않았는데, 하고 싶어졌다(12.4%)’, 3번 ‘원래 결혼을 하고 싶었는데, 하고 싶지 않아졌다(10.2%)’, 4번 ‘원래 결혼을 하고 싶지 않았고, 여전히 하고 싶지 않다(28%)’로 확인됐다. 5번 ‘기타(5%)’는 ‘하든 안 하든 상관없다’, ‘결혼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았다’ 등이 있었다.

연령 별 보다는 성별에 따른 응답 차이가 두드러졌다. 펜데믹과 무관하게 결혼에 긍정적인 남성은 54.4%, 여성은 34.4%였고, 반대로 결혼에 부정적인 남성은 18.8%, 여성은 37.2%로 나타났다. 긍정에서 부정으로 변한 비율은 남성 11.2%, 여성 9.2%였으며, 부정에서 긍정으로 변한 비율은 남성 11.6%, 여성 13.2%였다.

결혼하고 싶다고 한 56.8%은 ‘사랑하는 사람과 가정을 이루고 싶어서(63.1%)’, ‘가족의 소중함이 더욱 느껴져서(13.9%)’, ‘외롭고 쓸쓸한 마음이 들어서(11.3%)’, ‘주변 사람들이 점점 결혼하는 모습을 보고 필요성을 느껴서(7.4%)’, ‘기타(4.2%)’ 순으로 이유를 꼽았다.

결혼하기 싫다고 한 38.2%는 ‘혼자의 삶이 더욱 편하다고 느껴져서(48.7%)’, ‘점점 결혼할 만한 사람이 없다고 느껴져서(18.8%)’, ‘결혼이라는 제도 자체가 부질없게 느껴져서(16.8%)’, ‘경제적 상황이 더욱 좋지 않아져서(14.7%)’, ‘기타(1%)’ 순으로 택했다.

결혼정보업체 관계자는 “코로나로 각자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었고, 재난·위기 상황에 유독 쓸쓸함이 커져 가정을 꾸려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는 것 같다. 다만 비대면 문화의 발달로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져 혼자가 편해지는 계기가 되기도 해, 두 가지 양면성을 띄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또 “상담에서도, 결혼 생각이 없었다가 심경의 변화가 생겨 결정사를 찾아왔다는 말이 심심치 않게 들린다. 연애·만남에 대한 욕구가 집중됨과 함께, 또 언제 이 같은 사회적 재난이 되풀이될지 알 수 없는 것도 이유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