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와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김태훈, 이하 공진원)은 전주시와 주이탈리아한국문화원과 함께 지난 4월 13일 이탈리아 베니스 국립 마르차나 도서관에서 지류 복원·보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통한지의 우수성과 복원’ 세미나를 개최했다.
우리 전통한지는 일본이나 중국의 전통 종이에 비해 강도가 높기 때문에 유물 복원 등에 적합한 재료로 평가되고 있다. 본 세미나에서는 전통한지의 제조기술부터 우수성, 활용 사례 등이 다뤄졌다.
첫 발표자는 최성일 전주한지장으로, ‘전통한지의 제조기술’을 주제로 전주 한지의 우수성과 내구성에 대해 강조했다. 다음 발표자는 마리아 레티치아 세바스티아니 ICPAL 전(前)소장으로, ‘전통한지 인증에 따른 실험분석’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치아라 포르나차리 바티칸박물관 종이복원실장은 ‘복원용 한지의 활용과 가능성’을 주제로 이탈리아 주요 문화재 복원에 한지를 활용한 사례를 소개하여 전문가들의 궁금증을 해소했다. 바티칸박물관 종이복원실에서는 최근 유물 복원 재료로 우리 전통한지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 공진원 측에 관련 연구와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번째 세미나는 이틀 후인 4월 15일 브레시아 카르메 문화예술센터에서 개최하였다. 본 세미나는 주이탈리아한국문화원의 협조로 한지와 특별한 인연을 맺고 활동 중인 로마 미술대학의 리카르도 아요사 교수의 개인전(4.14~5.14)과 연계하여 ‘전통한지의 활용과 변용’ 주제로 열렸다. 전통한지가 현대 예술에 활용되는 다양한 사례가 공유됐으며, 가능성을 가늠해볼 수 있는 자리였다.
첫 발표자인 리카르도 아요사 교수는 ‘시각예술 표현 재료로서의 전통한지’를 주제로 예술작품으로써 한지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모색했다. 교수는 오래 전부터 작품의 주재료로 전통한지를 적극 사용하고 있는 작가로 잘 알려져 있다. 이어 공진원 김태완 전통생활문화본부장이 ‘한지의 현대적 활용과 변용’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여 전통한지의 문화적 확장 가능성을 제시했다. 끝으로 한국전통문화전당 인미애 전주천년한지관장이 ‘생활문화 속 전통한지의 활용’을 주제로 한지의 일상화를 공유했다.
공진원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전통한지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활용도에 대해 전세계가 함께 교류하는 시간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우리원은 지속적으로 한지의 다양성을 소개하는데 적극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한편 본 세미나와 연계하여 4월 13일부터 4월 30일까지 이탈리아 베니스 국립 마르차나 도서관 산소비노 전시실에서《2023 THAT’S KOREA : HANJI》전시가 진행된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