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러한 흐름에 따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은 비대면 온라인 공연으로 발달한 테크테인먼트(Tech-Tainment, 엔터테인먼트와 기술의 결합)를 오프라인 공연으로까지 확장하는 ‘에브리씽 위 두 이즈 뮤직’ 사업을 신설하여 본격적인 대 하이브리드 음악 콘텐츠 시대를 연다.
특히 자유롭고 무한한 상상력을 지닌 뮤지션들이 첨단기술과 음악 IP를 융합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음악 콘텐츠를 마음껏 기획하고 제작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라는 점에 있어서, 세계적인 작곡가이자 현대음악의 신화적 존재인 존 케이지(John Cage)의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은 음악 Everything we do is music”이라는 음악적 개념의 혁신성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테크테인먼트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음악 콘텐츠를 시도하려는 움직임은 국내에서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 5월 하이브는 가수 이현과 AI 오디오 기술, 확장현실(XR) 등을 융합한 새로운 아티스트 ‘미드낫(MIDNATT)’을 공개했다. 또 SM엔터테인먼트는 에스파(aespa)와 세계관을 공유하는 버추얼 아티스트 나이비스(naevis)를 피처링으로 참여시키며,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접점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콘진원 역시 2021년도부터 XR, 디지털 3D 모델링, 실감 음향 기술 등 비대면 온라인 공연을 위한 장비와 전문 인력을 갖춘 KOCCA뮤직스튜디오를 운영하며 비대면 온라인 공연 시장 진입이 어려운 뮤지션들을 지원해 왔다. 이번에도 ‘에브리씽 위 두 이즈 뮤직’을 통해 그동안 쌓아온 테크테인먼트 노하우와 인프라를 적극 투입하여, 다양한 퍼포먼스의 집합체라 할 수 있는 뮤지션들의 콘서트, 쇼케이스, 팬 미팅 등이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콘텐츠로 진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참가 뮤지션이 직접 설계, 기획과 제작, 현장 운영까지 통합 솔루션 제공
그동안 많은 지원사업이 이미 모든 것이 설계된 프로그램에 단순히 뮤지션이 참여하는 방식이었다면, ‘에브리씽 위 두 이즈 뮤직’은 참가 뮤지션이 콘서트, 쇼케이스, 팬 미팅 등 계획하는 프로그램에 필요한 하이브리드 음악 콘텐츠의 계획부터 실행까지 모든 과정을 직접 주도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됐다. 이때 콘진원은 뮤지션과 1:1로 커뮤니케이션하며 실행 과정에 필요한 자원(기술, 인력, 장소)을 직접 제공 또는 지원한다. 뮤지션에게 아이디어가 있다면 콘진원은 이를 실행할 조력자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하이브리드 음악 콘텐츠에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술로는 △모션캡쳐 △AI 자동연주 △홀로그램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솔로 뮤지션이라면 모션캡쳐 기술을 활용하여 자신의 분신을 무제한으로 생성하여 그룹 활동 뮤지션보다 더 웅장한 콘서트 연출을 할 수 있다.
독특한 퍼포먼스로 쇼케이스의 오프닝을 연출하고 싶은 발라더라면 AI 자동연주로 서프라이즈를 제공하는 것도 한 방법. 나의 최애를 가까이서 볼 수 없어 아쉬워한 팬들을 위하여 홀로그램 부스를 설치, 물리적 거리를 줄이면서 실시간 소통까지 가능한 팬 미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뮤지션의 기획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무궁무진하다. 조금 더 자세한 안내를 위하여 콘진원에서 별도의 사업설명회가 예정되어 있다.
이번 ‘에브리씽 위 두 이즈 뮤직’ 지원 신청 방법과 제출서류 등 상세한 내용은 콘진원 누리집 공지사항에 게시된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참가를 원하는 뮤지션은 오는 7월 7일 금요일 오전 11시까지 이메일을 통해 접수하면 된다. 최종 선정발표는 7월 27일 예정이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