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이 24일 공시를 통해 2025년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보다 3.9% 증가한 101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4일 공시했다. 이전 분기 대비로는 흑자전환이다. 매출액은 5조 9456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다. 순이익은 374억원으로 2571.4% 늘었다. 현대제철 발표에 따르면 2분기 제품 판매량 증가와 함께 원료가격 하락, 자회사 실적 개선 등으로 매출액이 전분기 대비 6.9% 늘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글로벌 철강 시황은 상반기 수요 위축 등으로 부진했으나, 하반기 중국의 철강 감산 및 경기 부양책 시행 등으로 개선이 기대된다"며 "저가 철강재 국내 유입량 감소, 정부의 경기부양책 시행에 따라 점
현대차가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 관세 여파로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6% 가까이 줄었다. 현대차는 24일 연결기준 2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2분기 보다 15.8% 감소한 3조 601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8조 2867억원으로 7.3%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3조 2504억원으로 집계됐다. 현대차 관계자는 “국내,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량 증대로 외형적 성장이 가능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고,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인센티브 및 판매 비용 증가 등의 원인으로 손익이 둔화됐다”고 말했다. 향후 전망에 대해 현대차는 관세 등 통상 환경의 변동 방향성에 따른 손익 영향도 등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앞으로도 몇 분기 동안 테슬라는 고통의 시기를 겪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같은 소식이 나간 후 테슬라 주가는 23일(현지시간) 시간외 거래에서 5% 가까이 급락중이다.이날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최악의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이후 가진 컨퍼런스 콜에서 내년 하반기까지 힘든 시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폐지와 완전자율주행(FSD) 서비스가 정착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이유를 들었다.테슬라는 2분기 매출이 225억달러로 예상치(227억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주당순이익(EPS)은 40센트로, 금융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43센트)에 미치지 못
SK하이닉스가 2분기에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데 힘입어 3.5% 상승중이다.24일 SK하이닉스는 2분기 호실적을 발표한 영향으로 오전 10시 현재 전거래일보다 3.5% 오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9조2129억원, 매출액 22조2320억원의 실적을 올렸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과 매출 모두 역대 분기 기준 최대 성적이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69.8% 늘어난 6조9천962억원으로 집계됐다.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은 68.5%, 매출액은 35.4%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41.44%다.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고대역폭메모리(HBM)는 인공지능(AI) 메모리에서 핵심 제품으로 포지셔닝하고 있다"며 "중요성 고려할 때 수요 성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는 2025년 주요 기업들이 신입 및 경력 채용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밝혔다. 채용을 진행 중인 기업은 현대오토에버, KBS미디어, 넥센타이어, 하나펀드서비스, 다우기술, 용마로지스 등이다. ◇ 현대오토에버는 오는 8월 4일까지 ‘2025년 하반기 신입 개발자 집중 채용’을 진행한다. 모집 직무는 차량전장SW, SW플랫폼/모빌리티, 스마트팩토리, IT솔루션 등이다. 공통 지원 요건은 학사/석사 학위 소지자 또는 8월 졸업예정자,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등이며 전공에 따른 제한은 없다. 전형 절차는 △서류접수/ACT △코딩테스트 △1차 면접전형 △2차 면접전형 △채용검진 △입사 순으로 진행된다. ◇ KBS미디
상장사 10곳 중 7곳은 최근의 상법 개정안이 경영권에 위협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대한상공회의소가 300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상법 개정에 따른 기업 영향 및 개선 방안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의 76.7%는 2차 상법 개정 시 기업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답했다고 24일 밝혔다.대한상의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곳은 301곳인 반면, 중견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회귀한 곳은 574개로 273개 더 많았다.대한상의는 "이미 '중소→중견' 성장 메커니즘에 문제가 있는 상황에서 2차 상법 개정 시 '중견→대기업' 성장 메커니즘까지 심각한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
테슬라가 2개 분기 연속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하지만 실적 부진은 어느 정도 예상됐던 만큼 주가는 실적발표 후 시간외 거래에서 하락 폭이 제한적이었다.23일(현지시간) 테슬라는 2분기 매출이 225억달러로 예상치(227억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주당순이익(EPS)은 40센트로, 금융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43센트)에 미치지 못했다. 테슬라의 2분기 자동차 부문 매출은 167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 감소했다. 주당순이익(EPS)도 작년 동기보다 23% 줄었다.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42% 감소한 9억2천300만달러를 기록했다.영업이익률은 4.1%로, 작년 동기(6.3%)보다 2.2%포인트 낮아졌고 직전 분기(2.1%)보다는 2%
구글 모기업 알파벳이 월가 기대를 웃도는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알파벳 주가는 검색부문과 클라우드 부문 실적이 호조를 보인 영향으로 시간외 거래에서 3% 상승 중이다. 23일(현지시간) 알파벳은 2분기 매출이 964억 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앞서 LSEG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940억 달러를 웃도는 수치다.이 기간 조정 주당순이익은 2.31달러로 역시 월가 전망치 2.18달러보다 많았다.검색 광고 매출은 541억 달러로, 예상치인 527억 달러보다 많았다. 유튜브 광고 매출은 97억 9000만 달러로 스트리트어카운트가 집계한 전망치 95억 6000만 달러를 상회했고, 구글 클라우드 매출도 136억 2000만 달러로 월가 전망치 131억 1000
구글 모기업 알파벳이 월가 기대를 웃도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한 반면 테슬라 실적은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알파벳과 테슬라 주가는 투자자들이 실적을 어느 정도 예상한 만큼 실적 발표 후 시간외 거래에서 큰 변동없이 소폭 움직이고 있다.23일(현지시간) 알파벳은 2분기 매출이 964억 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앞서 LSEG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940억 달러를 웃도는 수치다.이 기간 조정 주당순이익은 2.31달러로 역시 월가 전망치 2.18달러보다 많았다.검색 광고 매출은 541억 달러로, 예상치인 527억 달러보다 많았다. 유튜브 광고 매출은 97억 9000만 달러로 스트리트어카운트가 집계한 전망치 95억 6000만 달러를 상회했고, 구글
LG이노텍이 2025년 2분기 매출 3조 9346억원, 영업이익은 114억원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6%, 영업이익은 92.5% 감소했다. 사업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광학솔루션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17.1% 감소한 3조 52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는 26.2% 줄었다. 통상적인 계절적 비수기에 진입한데다 환율 하락, 관세 리스크로 인한 1분기 풀인 수요 등의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다. 기판소재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416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10.4% 증가한 수치다. RF-SiP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기판의 안정적 공급이 매출을 견인했다. 전장부품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6.
LG CNS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LG CNS는 2025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조 4602억원, 영업이익 1408억원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0.7%, 영업이익은 2.3% 성장했다. 상반기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6.0% 증가한 2조 6715억원,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29.2% 증가한 2197억원을 달성했다. LG CNS의 주력 성장동력인 AI(인공지능)와 클라우드 분야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며, 2분기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AI·클라우드 사업의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8.2% 성장한 8724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체 매출의 60%에 달한다. AI 분야에서는 주요 금융 및 공공 AX 프로젝트를 석권해 시장
미국과 일본이 무역 협상에서 관세율 15%로 타결됐지만 자동차 관세는 25%에서 절반이 12.5% 큰 폭으로 낮췄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23일 일본 공영방송 NHK에 따르면 일본 정부 관계자는 일본이 초점을 맞춰온 미국 자동차 관세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에 부과한 25%의 관세를 절반인 12.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본 수입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은 기존 2.5%를 합친 15%로 합의됐다.현재 일본의 대미 무역 흑자의 80%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겨냥해 일본 수입차 시장의 개방을 계속해서 요구하며 관세 협상의 핵심 쟁점으로 거론해왔다.일본자동차수입조합(JAIA)에 따르면 일본 수입차 시
두산에너빌리티는 자사가 개발한 10MW 해상풍력발전기(모델명 DS205-10MW)가 국제 인증기관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형식 인증(Type Certification)을 취득했다고 23일 밝혔다. 국내 기업이 10MW급 해상풍력 모델에 대해 국제 인증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이번에 인증을 취득한 10MW 모델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지난 2022년 개발한 8MW 모델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지난 2월부터 전라남도 영광에서 실증을 시작해 4월 현장 실증시험 마무리 후, 설계 및 시험 데이터 검증을 거쳐 국제 인증을 취득했다. 이 모델은 블레이드 회전 직경 205미터, 전체 높이는 아파트 약 80층에 해당하는 230미터에 이른다. 6.5m/s의 저풍속 환경에